반응형
개천절 연휴 잘 보내셨나요? 올해 개천절은 일요일이어서 대체공휴일 덕분에 10월 4일(월)도 쉴 수 있어서 좋았던 것 같습니다. 요즘 공휴일에 태극기를 게양하는 집들이 많지 않아 안타까운 느낌이 살짝 들기도 합니다. 태극기 다는 법과 태극기 다는 날을 알아보겠습니다.
태극기 다는 법
태극기 다는 방법에는 2가지가 있습니다. 경축일 및 평일이냐, 조의를 표하는 날이냐에 따라 게양 방법이 서로 다릅니다.
- 경축일 및 평일 : 깃봉과 깃면 사이를 떼지 않고 달기
- 조의(弔意)를 표하는 날 : 깃면의 세로 길이만큼 깃봉에서 내려 달기
태극기 다는 법은 (1) 조기로 게양할 경우, 함께 게양하는 다른 기도 조기로 게양해야 하며 (2) 차량이나 보행자의 통행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거나 깃대가 짧아 조기로 게양할 수 없는 등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, 최대한 내려서 게양해야 합니다.
태극기 다는 날 (태극기 게양하는 날)
- 국경일 및 기념일
- 3·1절(3월 1일), 제헌절(7월 17일), 광복절(8월 15일), 국군의 날(10월 1일), 개천절(10월 3일), 한글날(10월 9일) 등 정부지정일
- 조의를 표하는 날
- 현충일(6월 6일), 국가장 등 정부지정일
태극기를 다는 위치
- 단독주택 : 대문의 중앙 또는 왼쪽에 게양
- 공동주택 : 앞쪽 베란다의 중앙 또는 왼쪽에 게양
- 차량 : 전면에서 보아 왼쪽에 게양
태극기를 게양하는 시간
국기는 매일, 24시간 달 수 있으나 야간에는 적절한 조명을 비추어야 합니다. 비와 바람으로 인해 국기의 훼손이 우려되는 경우에는 달지 않아야 합니다. 적절한 조명이 없는 경우에는 낮에만 게양을 해야 합니다.
- 국기를 매일 게양·강하하는 경우
- 게양 시각 : 오전 7시
- 강하 시각 : 3월~10월 오후 6시, 11월~2월 오후 5시
태극기 건곤감리 뜻
태극기는 우주와 더불어 끝없이 창조와 번영을 희구하는 한민족(韓民族)의 이상을 담고 있습니다.
- 흰색 바탕 : 밝음과 순수, 평화를 사랑하는 우리의 민족성
- 태극 문양 : 음(陰/파랑)과 양(陽/빨강)의 조화 상징으로써 우주 만물이 음양의 상호작용에 의해 생성하고 발전한다는 대자연의 진리를 형상화한 것
- 4괘 : 건괘(乾卦/하늘), 곤괘(坤卦/땅), 감괘(坎卦/물), 이괘(離卦/불)
이상으로 태극기 다는 법과 태극기 다는 날, 태극기 건곤감리 뜻까지 살펴봤습니다. 자주 보는 태극기이지만, 그 의미를 제대로 알지 못할 때도 많았고, 태극기 다는 법도 잘 몰랐었는데 이번에 잘 알게 된 것 같습니다. 내년에 돌아오는 개천절에는 꼭 태극기 달아야겠어요. 이상 꽃가람이었습니다. 감사합니다.
반응형
'알뜰살뜰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어카운트인포 계좌정보 통합관리 서비스 내 금융정보 한눈에 (0) | 2021.10.19 |
---|---|
뉴닉 뉴스레터 무료구독서비스 NEWNEEK (0) | 2021.10.13 |
경기도 3차 재난지원금 내용정리 (0) | 2021.10.01 |
상생소비지원금 신청 (0) | 2021.09.30 |
한가위 인사말 모음 추석 인사말 (0) | 2021.09.19 |
댓글